Book Review

공부머리 독서법-문해력이 답이다

2gramplus 2023. 4. 30. 07:44

자녀에게 공부머리를 선물하자

공부머리를 가진 아이들 : 공부를 별로 하지 않는 것 같은데 성적이 좋은 아이들
공부를 잘하는데 있어 지식을 단순히 외우는 것보다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저자는 논술 강시시절 아래와 같은 가설을 검증했다고 한다.
1. 읽기능력이 높을수록 공부를 잘한다.
2. 독서는 읽기능력을 끌어올린다.

하지만 현실은…
많은 아이들이 영어유치원 등 조기교육의 늪에 빠져있다. 그리고 실제로 그 아웃풋은 대단하다. 1년에 몇천만원은 우습게 나간다. 그리고 능력만 된다면 보내는 편이 좋다고 말한다.
대치, 목동, 잠실 등 지역별로 교육 커리큘럼(?)이 어느정도 정형화 되어있으며 특정 학원을 보내기 위한 학원이 별도로 존재하는 것이 이시대의 조기교육이다.

똑똑함의 착시

평균 90점 이상 우등생 비율 추정치

영유아기에는 조기교육의 효과가 눈에 띄게 확인되곤 한다. 5세, 6세 아이들이 영어를 읽고 쓸 수 있는 모습을 보면 주변 부모들은 당연히 조바심이 난다.
그러나 조기교육으로 얻은 눈부신 성과는 대게 초등학교 후반기 혹은 중학생이 되면 사라진다.
그 원인은 “읽기 능력의 부족”
교과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학년이 올라갈수록 모든 과목에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 주장은 KDI의 “왜 사교육보다 자기주도학습이 중요한가”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사교육의 효과는 초등학교 저학년 때 가장 크다가 점차 줄어들어 중학교 3학년 시기가 되면 거의 사라진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사교육에서는 이해할 필요가 없다. 설명을 듣는 것부터 시작된다.
2. 설명을 듣고 문제를 푼 뒤, 틀린 이유를 설명 듣고 다시 풀고를 반복.

*핀란드의 경우 조기교육은 불법 (이유 : 아이의 뇌를 파괴하기 때문에 )]
그들의 교육 철학은 Teach less, learn more, 아이들에게 덜 가르치는 것이 더 배우게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방법이 좋을까?

우선 아이들에게 재미있게 책을 읽을 수 있게 해주고, 책의 내용을 추론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이야기 책은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이야기 책의 장점: 추론능력과 공감능력 향상

 

아이들은 독서의 과정을 통해 [내용 이해→개념화→머리속에 기억] 머리속에 집을 짓는 훈련을 하게되는데, 이 과정은 과학, 사회, 역사 같은 다른 과목의 성정까지 올릴 수 있다.

 

글자→소리 : 표음 해석단계
소리→뜻이해 : 의미 해석
이해 못하는 애들은 글을 읽으면서 그 의미를 떠올릴 여유가 부족하다. 그래서 이야기 책을 통해 아이들이 즐겁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것이 중요하다.

세 차례의 위기를 모두 극복하기 위해 책을 학습의 도구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학습의 도구가 되는 순간 아이는 책에서 멀어질 수 있음)

독서습이 중요하다

어렷을 적부터 습관을 들여 놓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 그리고 장소까지.
10분 읽어주기→40분 책 읽기→10분 대화하기

 

*하루 15분 책 읽어주기의 힘-짐 트렐리즈 참고

 

스마트폰과 게임, 영상에 빠진 아이들은 책에 집중하기 어렵다. 즉, 언어 능력이 떨어진다. 팝콘 브레인이 되어버린 아이들. 왠만한 자극이 들어오지 않으면 그들의 뇌는 활성화 되지 않는다.

* <게임뇌의 공포>-모리아키오 니혼대학교 교수 참고

언어능력이 성적을 결정

공부를 잘하는 아이는 스스로 공부하고 책을 읽는 데 능숙하다. 부모가 아이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것은 대뇌변연계 발전에 효과적이다.

(애정어린 눈마춤, 다정한 스킨쉽, 함께하는 놀이는 대뇌변연계 발전에 효과적)

 

지식은 외우는것이 아니라 깨닫는 것이다.

지식은 블록처럼 쌓이고 쌓인 블록들이 하나의 지식으로 연결된다.

 

궁금한 것을 지식도서를 읽으며 해결하는 수업과 원인을 지식 도서를 통해 규명하는 수업이 필요하다.

이것이 독서이다.

 

*도서 추천

현대물리학이 발견한 창조주, 코스모스는 지식체계를 습득할 수 있는, 지식 구조를 머리속에 넣을 수 있는 경험가능

지식체계가 완전한 형태로 세워지면, 지식이 생각의 재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느낀점 : 내 자녀는 어떻게 키워낼 것인가

주변 아이들의 영어, 수학 학습 과정과 그 결과를 볼 때면 부모로서 마음에 불안감이 생긴다. 독서를 통해 아이를 키우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지만 상당한 결단이 필요해 보인다. 

기존의 방식만이 정답은 아니라는 확신을 가지고 학습이 아니라 호기심을 기반으로 한 능동적인 배움의 길을 걸을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스스로 생각해보고 책을 통해 함께 찾아보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나의 제한적인 시간을 기꺼이 내어줄 것이다.

 

모든 학습과 독서의 주도권은 아이에게 양도하고 믿음과 신뢰로 아이를 양육해보자.